내 유튜브 채널 알고리즘 점수와 광고 단가 확인

유튜브는 무조건 수익화

이제 유튜브를 취미로 한다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사실 유튜브를 하는 목적은 오로지 수익화, 돈 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없는 시간을 쪼개어가며 영상 편집에 영혼을 갈아서 만드는데 이걸 취미로 한다는 건 사실상 넌센스. (물론 있겠지만, 거의 없다고 보면 되고 혹여나 돈이 아니더라도 자기 홍보 목적이라고 할 지라도 결국 이는 돈과 연결된다).

 

물론 플레이리스트를 운영하는 사람은 조금 목적이 다르겠지만 이 또한 결국 유튜브 광고 수익 이외에 다른 브랜디드나 PPL, 굿즈 (머치) 등과 연계되도록 하는 게 목적이므로 이 또한 결국 수익화가 최종 목적이라는 사실만큼은 부인하지 말자.

 

 

내 유튜브 채널 가치?

물론 처음에야 구독자수도 적고 해서 전혀 수익화는 생각하지 못하겠지만 일부 영상이 떡상하여 구독자가 점점 증가하게 되어서 어느정도 구독자 수가 차게 되면 협업 메일이 오기 시작한다. 나 역시도 지금 작성하는 현재 유튜브 구독자수가 1만 3천여명 정도 되지만 협업 문의가 오기 시작한 건 대략적으로 5천명부터 시작되었던 것 같다. 

 

그럼 우리는 당연히 돈을 많이 버는게 목적이므로 광고비를 많이 받고 싶겠지만, 유튜브 생태계에서도 엄연히 어느정도 채널 크기에 따른 광고 단가가 존재하는 법. 그런데 생각보다 이 광고 단가가 정확하지 않고 각자 천차만별이라 처음 광고 요청이 왔을 때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나 역시도 처음에 광고 요청을 받았을 때는 광고비 책정하는데 애를 먹었다. 그래서 뭔가 다들 쫄아있다고나 해야할까? 그래서 받아야 하는 수준의 광고비보다 훨씬 적게 부르는 경우가 많다. 거의 그냥 무료봉사 수준으로 해주고 난 뒤, 나중에 적정 광고비 수준을 알게 되고 후회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이런 것들을 미리 미연에 방지하고자 다양한 내 유튜브 채널 광고 단가를 확인하는 사이트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오늘은 블링 (vling)이라는 사이트를 통하여 내 채널 가치를 알아보자.

 

유튜브 채널 등급

우선 대략적으로 내 채널의 광고를 단가를 알기 전 유튜브에서는 보통 아래와 같이 구독자수로 등급이 나눠진다. 0에서 1천명까지는 나노 (Nano), 1천에서 1만까지는 마이크로 (Micro), 1만에서 10만은 매크로 (Macro) 등으로 분류가 되는데 내 채널의 경우 1만명이 조금 넘었으므로 매크로 중에서도 브론즈 등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1백만이 넘어가는 메가등급부터는 광고비가 수천을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유튜브 채널 등급
유튜브 채널 등급

 

내 유튜브 알고리즘 스코어

01. 채널 스코어

이외에도 블링에서는 내 유튜브 채널의 알고리즘 점수는 대략적으로 몇 점인지 알려준다. 최근 30일간 전체적으로 78점으로 다행히도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유튜브 채널 알고리즘 스코어
내 채널 알고리즘 스코어

 

 

이외에 채널 전체에 대한 알고리즘 스코어는 62점인데 이도 매우 높음으로 나온다. 아마 4년 전 디자인 튜토리얼 영상까지 다 포함이 되서 조금 내려간게 아닌가 생각. 참여도와 활성도는 지난 달까지만 하더라도 매우 높음이었는데 이번달에 높음으로 살짝 떨어졌다. 그리고 비슷한 크기의 (구독자수 1만) 채널과 비슷한 장르의 채널 (플레이리스트)를 모두 살펴보았는데 확실히 저작권 이슈가 있기 때문에 플레이리스트 채널이 상대적으로 노출을 덜 시켜줌에 따라 영상 평균조회수 등이 일반 다른 장르의 채널보다 많이 낮은 편이었다.

유튜브 알고리즘 스코어 2
내 채널 알고리즘 스코어, 참여, 활성도

 

02. 영상별 스코어

여백을 쓰다 채널에서 가장 조회수가 많이 나온 영상은 "우아한 도쿄시티팝"으로 지금 글쓰는 현재 약 63만회를 기록하고 있다. 블링의 데이터로 살펴보면 알고리즘이 99점으로 거의 만점으로 되어 있다. 역시 알고리즘 점수가 높아야 많이 뿌려지는것일까?

도쿄시티팝 알고리즘 점수
도쿄시티팝 알고리즘 점수

 

채널에서 2번째로 조회수가 높은 "너의 청춘은 투명한 에메랄드빛 지중해의 여름"은 현재 약 20만회를 기록하고 있는데 역시 알고리즘 점수는 99점이다. 그렇지만 60만회까지 조회수를 달성하지는 않았다.

너의 청춘 알고리즘 점수

 

 

한달 전에 업로드 했던 "도시여행자의 시티팝"의 경우 알고리즘 점수가 94점이지만 조회수는 1만 남짓에서 멈춰버렸다. 반대로  MBTI "iiii" 기준 쿵쾅대지 않는, 시끄럽지 않은 드라이브 플리"의 경우 알고리즘 점수가 82점이지만 조회수는 5만이었다. 그래서 알고리즘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영상이 떡상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 유튜브 광고 단가

그렇다면 내 채널의 경쟁력, 즉 광고 단가는 어느정도 될까? 해당 데이터에 따르면 내 유튜브 채널의 광고 단가는 아래와 같이 측정되었다. 1만명의 채널인데다가 아직 작은 채널이라 기대를 많이 안했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많은 광고비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조금 놀랐었다. 광고비는 채널마다 다 다르며 오직 자신의 채널 인증을 할 경우에 자신의 광고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직 100단위는 아니지만 거의 근접한 수준이어서 더 놀라웠다. 1만도 이렇게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유튜브 채널 광고단가표
내 유튜브 채널의 광고단가

 

 

다만, 광고단가는 채널의 효율성 (평균지속시간, 평균 조회수 등)을 종합하여 더 높게 혹은 더 낮게 나올 수도 있으며 조금씩 상대성이 있다. 그리고 광고 단가는 최종적으로 채널 주인이 결정하는 부분으로 참고용으로 보면 좋을 거 같다. 얼마 전에도 브랜디드 광고 제의가 있었지만, 블링에서 제공해주는 광고단가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회신을 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지만, 확실히 일반 채널보다는 플레이리스트 채널 (플리채널)의 경우 좀 더 다르게 계산법이 들어가야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또 플리 채널 광고비 책정에 대해서 다뤄볼게.